TV영상

전체기사 보기

쌀통닭, 모바일 상품권 출시 기념 이벤트 실시

인증샷 남기면 상품권 100% 증정

(뉴스와이어) 100% 우리쌀로 만든 웰빙치킨 ‘쌀통닭’이 모바일 상품권 출시 기념으로 페이스북에 인증샷을 남기면 상품권을 100% 증정하는 이벤트를 실시한다. 4월 12일(화)부터 4월 30일(토)까지 쌀통닭 페이스북에 매장명과 함께 인증샷(주문 메뉴와 결제 영수증)을 댓글로 인증하면 15,000원 상당의 쌀통닭 모바일 현금쿠폰을 고객에게 이벤트 종료 후 일괄 전송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쌀통닭 페이스북을 참조하면 된다. 쌀통닭은 3월 25일(금)에 카카오톡 선물하기 입점을 시작으로 3월 28일(월)부터 일주일 특가 프로모션을 실시하였다. 약 30% 할인된 가격에 2가지 메뉴를 프로모션 상품으로 구성했으며, 고객들의 성원에 힘입어 판매 3일만에 해당 상품 교환권은 모두 매진되었다. 쌀통닭은 밀가루 0%, 몸에 좋은 우리쌀 100%를 사용하여 만든 건강치킨으로 주목받고 있는 브랜드다. 또한 쌀통닭의 모든 제품은 얼리지 않은 국내산 냉장육만을 사용한다. 고소하며 바삭한 식감과 맛으로, 제품의 육즙이 그대로 보존되어 풍미 좋은 치킨을 제공하여 조리법 특허를 취득하였다. 쌀통닭은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계획 및 준비 중이다. 쌀통닭 홈페이지: ht

삼성 스마트오븐, ‘로스트 치킨’ 만들기 이벤트 실시

12/30일까지 삼성 스마트오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벤트 진행 삼성 스마트오븐의 72개 구멍에서 강력한 열풍을 쏟아내는 ‘핫블라스트’ 기능으로 ‘로스트 치킨’을 손쉽고 맛있게 완성 추첨을 통해 ‘브래드가든 구겔호프팬’과 스타벅스 상품권 등 증정

(뉴스와이어) 삼성전자가 16일부터 오는 30일까지 집에서도 삼성 스마트오븐의 ‘핫블라스트(HotBlast)’ 기능을 활용해 손쉽게 근사한 요리를 만들 수 있는 ‘로스트 치킨 만들기’ 온라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벤트에 참여하려면 삼성 스마트오븐 공식 커뮤니티(http://cafe.naver.com/amysoven)에서 ‘로스트 치킨’ 레시피를 보고 삼성 스마트오븐을 활용한 요리 과정과 완성된 요리의 사진을 게시판에 소개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당첨된 10명에게는 홈베이킹 도구 ‘브래드가든 구겔호프팬’을 증정하고, 레시피를 공유만 해도 추첨을 통해 총 20명에게 스타벅스 모바일 상품권을 증정하는 ‘공감되면 공유하자’ 이벤트도 마련됐다. 이번 이벤트의 주요리인 ‘로스트 치킨’은 닭을 간단히 손질한 후 삼성 스마트오븐의 ‘핫블라스트’ 기능으로 약 50분간 구워주기만 하면 맛있게 완성된다. 72개의 구멍에서 강력한 열풍이 쏟아지는 ‘핫블라스트’ 기능은 조리 시간은 줄이고 식재료 본연의 맛을 보존해 풍미를 살려 가정에서도 레스토랑 못지 않은 훌륭한 요리를 만들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삼성 스마트오븐은 기존 그릴보다 강력해진 출력과 넓어진 열 방출 면적을 갖춘 ‘와

피자마루, ‘2015 한국프랜차이즈대상’ 수상

카카오톡 제휴 모바일쿠폰 시장진입도 성공적

(뉴스와이어) 특허받은 웰빙도우를 차별점으로 피자업계에 중저가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푸드죤의 피자마루가 최근 2015 한국프랜차이즈대상에서 수상했다.‘한국프랜차이즈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프랜차이즈들 중에서도 프랜차이즈 산업 발전에 기여한 브랜드를 선정하여 포상하는 시상식으로, 2000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권위 있는 상이다. 피자마루는 이번 2015년 한국 프랜차이즈 대상 중에서 외식업 부문에서 공로가 인정되어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을 수상했다.피자마루는 맛과 가격에서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걸그룹 마마무를 모델로 발탁하고 젊고 활기찬 외식브랜드로 포지셔닝하면서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최근 마마무가 직접 불러서 화제가 된 뮤직비디오 타입의 CF영상을 유투브에 공개해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피자쿠킹을 모티브로 만든 댄스와 중독성 있는 노래가 화제가 됐는데,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피자마루는 카카오톡과 제휴를 통해 모바일 시장에도 진출했다. 카카오선물하기 입점을 기념하여 피자마루는 할인이벤트(12/7~12/11)를 계획하고 1만개가 넘는 수량을 준비했는데, 이벤트 개시 후 하루가 채 지나기도 전에 전량 완판

어니스트비(honestbee), 일본에 온디맨드 식료품 딜리버리 서비스 출시

어니스트비, 이번 스키시즌 일본 니세코에 팝업스토어(pop-up store)를 열어 고객들에게 편의와 신선한 식료품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

(Business Wire/뉴스와이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온디맨드(on-demand) 식료품 컨시어지 및 딜리버리 서비스 회사인 어니스트비(honestbee)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오늘 자사 서비스를 일본에 런칭할 예정이다. 이는 향후의 성장을 위한 첫걸음이다. 방문 여행객들은 일본 홋카이도 니세코 지역에서 온라인 포털사이트 https://honestbee.jp 를 통해 오늘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편리한 식료품 쇼핑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이 스마트 보도자료는 멀티미디어를 제공한다. 보도자료 전문은 아래 링크 참조.http://www.businesswire.com/cgi-bin/mmg.cgi?eid=51241032lang=en어니스트비는 올해 7월 싱가포르에 첫발을 내딛었으며, 쇼퍼가 고객을 위해 최고의 식료품을 선정해주고 이와 함께 빠른 딜리버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바 있다. 어니스트비는 곧이어 10월에 홍콩에서 런칭되었으며, 시간에 쫓기는 홍콩 고객들을 위해 편리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안정된 품질을 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어니스트비의 공동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조엘 쑨(Joel Sng)은 “니세코는 매

농림축산식품부, 2016 외식 소비 트렌드 전망발표 개최

농식품부, 최근 외식의 흐름과 2016 전망 발표 12월 8일, aT센터에서 2016 외식 소비트렌드 전망 대회 개최

(뉴스와이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이동필)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 사장 김재수)가 8일 오후 3시부터 5시 30분까지 aT센터 3층 세계로룸 세미나실에서 ‘2016 외식 소비 트렌드 전망’이란 주제로 발표회를 개최한다.이번 발표회는 2016 외식 소비트렌드 전망을 발표하고 내년도 외식기업의 경영에 나침반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외식업 종사자들과 외식산업, 프랜차이즈산업 관련자들의 2016년 외식 소비를 예측하며 성공모델 도출을 목적으로 열린다.특히 이번 발표회에서는 ‘트렌드코리아2016’의 저자 김난도 교수가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의 흐름과 시사점에 대해 직접 발표를 진행할 예정으로 주목받고 있다.발표회는 ‘대한민국 소비트렌드의 흐름과 시사점(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이라는 주제 발표를 시작으로, ‘2016 국내 외식 트렌드 전망(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서령 부장)’, ‘2015년 국내 소비자 외식 행태 분석(한국외식산업연구원 김삼희 부연구위원)’을 차례대로 발표한다.2016 외식 소비 트렌드로는 ▲食을 넘어 문화로⇒ Gastro-nomad (미각 노마드의 탄생) ▲O2O(Online to Offline) 확대⇒ F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