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현 연천군수, “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 연천에 설립해야”

- 도의회서 기자회견 열고 의정연수원 유치 의지 표명

[연천=권 순 기자김덕현 연천군수가 1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연천 유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김덕현 군수는 이날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천군이 의정연수원 설립의 최적지임을 강조하며 강한 유치 의지를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덕현 군수를 비롯해 윤종영 경기도의원, 김미경 연천군의회 의장, 주민추진단 대표위원 등이 함께 했다.

김 군수는 기자회견을 통해 연천은 그동안 낙후와 규제를 상징해왔지만, 이제는 경기도 균형발전의 새로운 중심이 될 준비가 되어 있다유네스코가 인정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역사문화 자산, 교통 접근성까지 고루 갖춘 연천은 의정연수원이 추구하는 정책 연구·연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다양한 역사 유적과 조용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은 정책 구상과 교육, 힐링이 함께 이뤄지는 공간으로 최적의 여건이라며, “연수원이 단순한 교육시설이 아닌 지방자치의 미래를 그리는 상징적 공간이 되려면 그 첫 출발지는 연천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영 경기도의원도 함께해 의정연수원의 연천 유치를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

윤 의원은 의정연수원은 단순한 연수시설이 아닌, 지방의회의 두뇌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며 도심의 소음에서 벗어나 깊이 있는 정책 연구와 창의적인 토론이 가능해야 하며, 그 기준에 부합하는 곳이 바로 연천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경기 북부는 균형발전이란 말의 수혜자가 아니라 과제로만 존재해왔다이제는 도의회가 직접 그 균형발전의 의지를 실천으로 보여줘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연천군의회와 주민추진단 대표위원도 공식 결의문을 통해 유치 의지를 표명했다.

김미경 연천군의회 의장은 연천은 수십 년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첩된 규제 속에 놓여 있었다“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이라는 원칙이 유효하다면, 의정연수원 유치는 연천에서 시작돼야 한다. 지방의회와 공직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거점으로서 연천이 그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도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주민추진단 대표 정남훈 위원장은 오늘 이 제안은 연천 군민 41천여 명 함께 써 내려간 공개 서한이자 연천이 경기도의회 의장님께 보내는 간절한 청원이라며, 지방소멸과 경제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꼭 필요한 선택이 바로 지금의 연수원 유치라고 말했다.

앞서 연천군의회와 범군민 유치추진위원회는 결의문을 통해 연천은 접경지역이라는 한계를 딛고, 지방의회의 미래를 열 수 있는 최적의 입지라며 도의회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려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한편, 연천군은 도의회의 심의 절차에 성실히 임하고, 유치 제안의 타당성과 입지의 경쟁력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단계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