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ECO융합섬유연구원, 섬유산업 신성장 비전 선포!

미래 유망 신섬유산업 육성으로 전북 섬유산업 재도약 기대


(미디어온) 전라북도 섬유산업 육성을 목표로 지난 2001년 설립된 (재)한국니트산업연구원은 17(수) 새기관명인 ‘ECO융합섬유연구원’으로 현판식을 거행하면서 ‘글로벌 융복합 섬유기술 선도기업 육성 실현’이라는 2016년 비전을 선포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는 송하진 도지사, 전북도의회 김영배 의장, 한웅재 익산시장 권한대행, 김만식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이사장을 비롯해 유관기관 및 기업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줬다.

한국니트산업연구원은 정부의 창조경제와 전라북도의 산업 특성에 부응하는 미래 성장동력형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자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지난해 11월 최종승인을 받아 ‘ECO융합섬유연구원’으로 기관명을 변경했다.

ECO융합섬유연구원은 비전 선포를 통해 현재 내수중심의 전북 섬유산업에서 탈피하여, 융복합 섬유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비전 달성을 위해 ECO융합섬유연구원을 미래 융복합 신 섬유산업 주도를 위한 기술혁신과 시스템 혁신, 미래형 섬유인재 육성을 위한 글로벌 섬유산업 메카로 육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미래 지역경제 도약을 위해 육성하고 있는 스마트 농생명, 탄소·융복합, 자동차·기계, 그린에너지, ICT융합 등 5대 성장동력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섬유형 부품소재 개발로 신유망 섬유산업을 육성하는 추진전략도 제시했다.

ECO융합섬유연구원의 미래 신유망 섬유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기술개발 방향은 탄소소재 및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산업자재용 섬유소재 및 부품 개발, ICT 융복합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섬유제품 개발, 미래 지속가능한 친환경 섬유 신소재 및 복합재료 개발, 휴먼케어를 위한 기후변화, 안전보호 섬유소재 및 부품 개발, 에너지산업용 미래섬유 및 소재부품 개발 등이다.

현재 전북도와 ECO융합섬유연구원은 도내 섬유산업 및 섬유기업 육성을 위해 국가예타사업인 ‘안전보호 융복합 제품산업 육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본 사업이 선정되면 전북도에 안전보호 제품산업 육성 생태계가 조성되어, 3만 6천여 개의 일자리 창출 및 수출 확대로 지역 섬유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전선포식에 참석한 전북도 송하진 지사는 축사를 통해“전북도는 섬유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도내 섬유산업 지원에 노력하고 있으며 “ECO융합섬유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전북이 글로벌 섬유산업의 메카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했다.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