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올해 시설공사 29조 8천억 원 발주계획 예시

상반기에 75%인 6조1천억 원 조기 발주, 경제활성화 지원


(미디어온) 조달청은 29조 8천억 원 상당의 2016년 공공부문 시설공사 발주계획을 2월 17일 공표했다.

올해 국가기관, 지자체, 공기업 등에서 발주할 시설공사 집행계획 규모는 지난해의 31.6조원보다 5.6%(1.8조원) 감소했다.

국가기관은 17.4%(10,674억 원) 감소하고, 지방자치단체 5.5%(3,823억 원) 증가하였고, 기타 공공기관은 5.9%(10,946억 원) 감소했다.

이 중 조달청을 통해 발주되는 예시 규모는 전년(9조 5천억 원) 대비14.6% 감소된 8조 1천억 원이다.

발주계획을 통보하지 않은 기관을 고려하면, 올해 10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관별 발주계획 예시 규모를 분석해 보면, 국가기관 발주계획은 5조 638억 원으로 2015년 계획(6조 1,312억 원) 대비 17.4% 감소하였고, 감소원인은 항만, 대학교 및 교도소 신축, 하천환경정비사업 축소에 따른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는 2015년 계획(6조9,133억 원) 대비 5.5% 증가한 7조2,956억 원 규모이며, 증가원인은 컨밴션센터, 복선전철, 야구장 건립 등에 따른 것이고, 공기업 등 기타기관은 2015년 계획(18조 5,469억 원)대비 5.9% 감소한 17조 4,523억 원 규모이며, 감소원인은 철도시설사업의 축소에 따른 것이다.

조달청을 통해 발주되는 공사의 집행계획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발주기관별 발주규모는 국토교통부가 2조 2,886억 원으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해양수산부(9,161억 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3,983억 원), 법무부(2,301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기반시설사업 예산 감소로, 항만· 하천환경정비사업 축소에 따라 조달요청 예시규모가 전년대비 17.4%감소했다.

전년도에 비해 복선전철, 야구장, 청사 건립 등으로 조달요청 예시규모가 1.9% 증가했다.

공기업 등 기타기관은 산업단지 조성 사업 등의 축소에 따라 조달요청 예시규모가 전년 대비 30.5% 감소했다.

발주규모가 가장 큰 공사는 ’오버레이 임시시설 설치공사‘(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3,334억원)이며, 그 밖에 ‘울산신항 남항 방파호안 축조공사’(해양수산부 2,550억원)를 비롯 조달청을 통해 집행되는 1,000억 원 이상의 초대형 공사는 12건 정도가 될 전망이다.

조달청 발주계획을 포함한 2016년도 공공부문 발주계획 예시자료는 조달청 누리집과 나라장터(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서 열람할 수 있다.

발주기관, 발주시기, 공종, 계약방법, 공사규모 등 상세한 정보가 제시되어 있어 건설기업들이 영업․수주전략을 수립하고 입찰을 미리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