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기고문] 산불, 지원보다 선제적으로 준비하여 예방하자

[포천=황규진 기자]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건조한 날씨로 강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불 발생 건수도 증가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올 1월에만 104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1월에 100건이 넘는 산불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한다.

 

이처럼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수년에서 수백 년간 성장하며 산사태 등 각종 재해시 우리를 든든하게 보호해 주었던 산림이 잿더미로 변하게 된다. 이는 여름철 강우량이 집중되는 우리나라에겐 치명적이다.

 

지난 118~21일까지 1기갑여단 책임지역인 영평사격장에서 나흘 간 발생한 산불도 빠질 수 없다. 당시 출동한 군 헬기와 산림청, 소방헬기만 12대로 총 30ha의 산림이 훼손되었다.


영평훈련장 관리 책임부대인 여단에서도 완전 진화를 위해 전 장병이 현장으로 출동하였다.

하지만 설상가상으로 인력이 진화를 할 수 없는 최악의 환경이었다. 수풀은 우거져 있었고 산지엔 각종 장애물이 즐비했다. 지휘관인 내가 먼저 투입로를 따라 정상부분에 오르면서 도저히 장병들이 투입할 수 없는 지역이라고 판단, 현장에서 철수 명령을 내려야만 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이번뿐만이 아닐 것이다. 특히 재난 현장에 손길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달려가야 하는 군 특성상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진화를 위해 늘 준비하며 상황 발생 시 출동한다.

 

하지만 이제는 지원보다 예방을 먼저 하는 이 되어야 한다. 국가의 안보지킴이로서 산불을 방관하지 말고 먼저 적극적인 감시와 순찰을 통해 예방한다는 역발상적 생각이 필요한때이다.

그럴 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선제적으로 안전하게 지킬 수 있으며, 화재 현장으로 달려가는 인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임도(林道)개설에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 2017년 말 기준 현재 우리나라의 임도밀도는 3.3/1로 독일(46/1), 오스트리아(45/1) 등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숲이 우거지고 낙엽 등 가연물질이 많이 쌓여있는 우리나라 산림 특성상 한 번 발생하면 진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산불진화차량 등 장비가 쉬이 접근 가능하도록 임도개설이 절실하다.

 

산불, 적극적인 사전 예방활동과 임도개설만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임을 명심하자.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