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이어) 현대경제연구원이 ‘VIP REPORT’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디지털 적자생존(Digital Darwinism)시대다. ICT(정보통신기술)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시장을 주도해온 대형 제조업체라도 금방 도태(예: 노키아)되는 시기이다. ICT가 핵심기술로 적용되는 4차 산업 혁명으로 ‘유형제품’이 통신과 정보 처리·판단 기능을 지닌 ‘살아있는 제품’으로 변모하면서 제조업 모델이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 바뀌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조업 혁신은 제품 혁신보다 ‘스마트 공장’으로 상징되는 공정 혁신에 집중되고 있다. 서비스 개발을 포함한 제품 혁신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첨단기술 기반의 고부가 제조업으로 이행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여기서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유형제품과 서비스가 결합한 최종 제품을 창출하는 제품 혁신에 초점을 두고, 제품의 개념이 시대적으로 변천하면서, 그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와 글로벌 주요업체들의 대응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의 변화와 사례
4차 산업 혁명으로, 유형제품은 종래 기능이 고정된 독립 제품에서 벗어나, 통신에다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CT로 외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 제공이 가능한 제품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시간 제공 기능에만 머물렀던 시계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단말기 역할의 스마트 워치(smart watch)로 변화했다. 유형 제품에 서비스가 결합됨으로써 제품 폐기까지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살아있는’ 제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형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최종제품 개발을 목표로 제조업 모델은 종래의 ‘유형제품 제조 중심-서비스 지원’에서 ‘서비스 중심-유형제품 지원’으로 변모하고 있다. 유형제품 제조만으로는 수익성이 낮고, 시장 주도권 상실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제조업의 최종제품, 제조모델, 가치 사슬 변화
현재 대형 제조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면서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 변신하고 있다.
① GE: 회사 자체를 유형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디지털 산업 제품’(Digital Industry Product)을 개발하는 회사로 변혁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제품 서비스”(Product Service) 사업을 확대 발전시켜, 유형 제품에다가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기반한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이러한 GE를 ‘디지털 산업 기업’(2015년 9월)으로 명명하였다.
② 애플: 제조업의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뮤직스토어(2003년), 앱스토어(2008년) 등 유형제품 기반의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도입해 기존 업체를 몰락시켰으며, 고수익의 시장 독점적 위치를 확보했다. 최근에는 간편결제서비스, 신형 업그레드 서비스 등 유형제품보다 서비스 개발에 더욱 적극적이다.
③ GM, 포드 등 자동차 메이커: 스마트 카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이동 서비스 공급업체(mobility service provider)’로의 변신이 예상된다. 서비스 개발의 기반이 되는 커넥티드 카 기술의 시장 규모가 2016년~2021년 연평균 24.9% 성장할 것으로 전망(자료:PWC)되고 있다. 점차 자동차 메이커는 유형제품보다 차량 정보수집·유통 서비스, 디지털 서비스 공급, B2B 차량운행관리 서비스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더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④ 삼성전자: 전세계 20% 이상의 자사 스마트폰 고객을 시장 기반으로 해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애플페이 등 경쟁 서비스와 달리 범용성에 우위를 갖고 있어, 세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주요한 수익 창출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점
지금까지와 같은 기술 중심의 유형 제품 개발은 제조 혁신의 ‘필요 조건’에 불과하며, 앞으로는 서비스까지 개발해야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제조 혁신이 완성된다. 한국 제조업체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3.94%(2011년 기준. 미국, 독일, 일본 제조업체는 30~50%)에 불과할 정도로 국내 제조업의 서비스 개발은 아주 낮은 수준이다.
첫째, 공정 혁신에 맞춰진 제조업 혁신 3.0 정책을 제품 혁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하고, 미래의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의 혁신 정책 재편이 요청된다.
둘째, 미래 제조업종별로 예상되는 결합제품(제품+서비스)의 발굴과 예상되는 가치사슬의 변화를 조망하고 민간에 공표하는 정책 과제의 지속적 추진이 요청된다.
셋째, 제조업의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 확충을 위한 기술개발, 업종별 플랫폼 육성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과 M&A 활성화, 규제 개혁, 인력확보 등 사업 기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끝으로, 제조와 서비스로 나눠보는 산업화 시대의 이분법적 시각을 극복하고, 제조와 서비스를 결합한 융합 관점에서 보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적자생존(Digital Darwinism)시대다. ICT(정보통신기술)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시장을 주도해온 대형 제조업체라도 금방 도태(예: 노키아)되는 시기이다. ICT가 핵심기술로 적용되는 4차 산업 혁명으로 ‘유형제품’이 통신과 정보 처리·판단 기능을 지닌 ‘살아있는 제품’으로 변모하면서 제조업 모델이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 바뀌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조업 혁신은 제품 혁신보다 ‘스마트 공장’으로 상징되는 공정 혁신에 집중되고 있다. 서비스 개발을 포함한 제품 혁신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첨단기술 기반의 고부가 제조업으로 이행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여기서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유형제품과 서비스가 결합한 최종 제품을 창출하는 제품 혁신에 초점을 두고, 제품의 개념이 시대적으로 변천하면서, 그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와 글로벌 주요업체들의 대응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의 변화와 사례
4차 산업 혁명으로, 유형제품은 종래 기능이 고정된 독립 제품에서 벗어나, 통신에다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CT로 외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 제공이 가능한 제품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시간 제공 기능에만 머물렀던 시계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단말기 역할의 스마트 워치(smart watch)로 변화했다. 유형 제품에 서비스가 결합됨으로써 제품 폐기까지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살아있는’ 제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형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최종제품 개발을 목표로 제조업 모델은 종래의 ‘유형제품 제조 중심-서비스 지원’에서 ‘서비스 중심-유형제품 지원’으로 변모하고 있다. 유형제품 제조만으로는 수익성이 낮고, 시장 주도권 상실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제조업의 최종제품, 제조모델, 가치 사슬 변화
현재 대형 제조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면서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 변신하고 있다.
① GE: 회사 자체를 유형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디지털 산업 제품’(Digital Industry Product)을 개발하는 회사로 변혁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제품 서비스”(Product Service) 사업을 확대 발전시켜, 유형 제품에다가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기반한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이러한 GE를 ‘디지털 산업 기업’(2015년 9월)으로 명명하였다.
② 애플: 제조업의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뮤직스토어(2003년), 앱스토어(2008년) 등 유형제품 기반의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도입해 기존 업체를 몰락시켰으며, 고수익의 시장 독점적 위치를 확보했다. 최근에는 간편결제서비스, 신형 업그레드 서비스 등 유형제품보다 서비스 개발에 더욱 적극적이다.
③ GM, 포드 등 자동차 메이커: 스마트 카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이동 서비스 공급업체(mobility service provider)’로의 변신이 예상된다. 서비스 개발의 기반이 되는 커넥티드 카 기술의 시장 규모가 2016년~2021년 연평균 24.9% 성장할 것으로 전망(자료:PWC)되고 있다. 점차 자동차 메이커는 유형제품보다 차량 정보수집·유통 서비스, 디지털 서비스 공급, B2B 차량운행관리 서비스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더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④ 삼성전자: 전세계 20% 이상의 자사 스마트폰 고객을 시장 기반으로 해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애플페이 등 경쟁 서비스와 달리 범용성에 우위를 갖고 있어, 세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주요한 수익 창출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점
지금까지와 같은 기술 중심의 유형 제품 개발은 제조 혁신의 ‘필요 조건’에 불과하며, 앞으로는 서비스까지 개발해야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제조 혁신이 완성된다. 한국 제조업체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3.94%(2011년 기준. 미국, 독일, 일본 제조업체는 30~50%)에 불과할 정도로 국내 제조업의 서비스 개발은 아주 낮은 수준이다.
첫째, 공정 혁신에 맞춰진 제조업 혁신 3.0 정책을 제품 혁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하고, 미래의 ‘서비스 중심 제조 모델’로의 혁신 정책 재편이 요청된다.
둘째, 미래 제조업종별로 예상되는 결합제품(제품+서비스)의 발굴과 예상되는 가치사슬의 변화를 조망하고 민간에 공표하는 정책 과제의 지속적 추진이 요청된다.
셋째, 제조업의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 확충을 위한 기술개발, 업종별 플랫폼 육성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과 M&A 활성화, 규제 개혁, 인력확보 등 사업 기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끝으로, 제조와 서비스로 나눠보는 산업화 시대의 이분법적 시각을 극복하고, 제조와 서비스를 결합한 융합 관점에서 보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웹사이트: http://www.hri.co.kr